합격생 분석

    • 2023년 9급 국가직
      인원현황(일반전형 기준) (단위:명)
      인원현황(일반전형 기준)
      직군 선발인원 출원인원 응시인원 필기합격인원 최종합격인원 필기합격비율 최종합격비율
      행정직 4,304 101,885 80,672 5,847 4,627 136% 108%
      기술직 581 15,705 11,790 830 623 143% 107%
      행정직
      기술직

      핵심 코멘트

      • 필기합격인원은 선발인원 대비 행정직 136%, 기술직 143%선발인원의 1.3~1.4배수 수준
      • 최종합격인원은 선발인원 대비 행정직 108%, 기술직 107%선발인원의 1배수 소폭 상회
      • 9급 공무원 시험의 필기합격인원은 매년 1.3~1.4배수 내외의 수준을 보임.
      • 최종합격인원은 당해 년도의 필기성적 및 면접결과를 종합하며 결정되며, 직렬에 따라 선발인원보다 많거나 적기도 함.
      필기 합격선(일반전형 기준, 만점 평균 기준, 합격선 높은 직렬 순)
      행정직
      기술직

      ※ 행정직 일반행정 : 전국, 지역구분, 우정사업본부, 경찰청 일반행정직 일괄 통합

      핵심 코멘트

      • 행정직 필기 합격선 가장 높은 직렬은 교육행정 96점 > 출입국관리 94점 > 관세 91점 순
      • 채용인원이 가장 많은 일반행정의 합격선은 모집구분(소속)에 따라 전국, 지역구분, 우정사업본부, 경찰청으로 구분되어 결정됨.
      • 기술직 필기 합격선 가장 높은 직렬은 일반농업 90점 > 화공 86점 > 시설조경 85점 순
      • 필기 합격선은 시험 난이도, 선발 및 응시 인원 등에 의해 매년 달라지므로, 필기 합격을 위해 수험생은 최대한 고득점을 목표해야 함.
      공단기 풀서비스 합격권 분석 ※ 분석 데이터 출처는 자사의 풀서비스로 기관 발표자료와 다를 수 있음.

      풀서비스 합격권이란?

      필기 합격선이 선발인원의 일정 범위에서 형성되는 누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풀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구분한 필기점수 상위권 그룹을 의미합니다.
      풀서비스에서는 합격권을 다시 합격확실권, 합격유력권, 합격가능권으로 세분화하여 더욱 정확한 합격예측이 가능합니다.

      과목별 점수(전문과목 : 직군별 통합)
      행정직
      행정직
      구분 국어 영어 한국사 전문과목
      합격권 상위
      50%컷
      95 90 95 90
      합격권
      전체 평균
      94.4 87.9 92.7 84.9
      기술직
      기술직
      구분 국어 영어 한국사 전문과목
      합격권 상위
      50%컷
      90 85 95 85
      합격권
      전체 평균
      87.9 82.9 90.1 79.9

      핵심 코멘트

      • 자사 풀서비스 합격권 상위 50% 컷 점수가 합격권 전체 평균보다 대체로 높게 나타남.
      • 행정직이 기술직보다 과목별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남.
      • 직렬별로 필기 합격선이 다르므로 직군별 평균 점수는 공무원 시험 정보로서 참고하되, 목표 직렬의 합격선을 반드시 확인할 것.
      가산 자격 취득 비율 (단위:%)
      가산 자격 취득 비율
      직군 5% 3% 없음
      행정직 4.5% 0.0% 95.5%
      기술직 58.2% 6.1% 35.7%

      ※ 가산대상: 직렬별 가산 자격 인정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며, 과목별 만점의 40%이상 득점한 자
      ※ 가산방법: 행정직 - 과목별 만점의 5% 가산 / 기술직 - 과목별 만점의 3%(기능사), 5%(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가산

      핵심 코멘트

      • 행정직가산 자격 ‘없음’ 비율이 95.5%로, 풀서비스 합격권 대부분의 수험생이 가산 자격이 없음.
      • 기술직5% 자격 소지 비율이 58.2%로 가장 많음. 기술직 직렬 중에서는 지원자격에 자격증 소지를 요구하는 직렬이 많은 편.
    • 2023년
      인원현황(공채 기준) (단위:명)
      인원현황(공채 기준)
      구분 선발인원 출원인원 응시인원 필기합격인원 최종합격인원 필기합격비율 최종합격비율
      남자 667 13,544 11,920 1,345 672 202% 101%
      여자 63 1,939 1,741 222 63 352% 100%
      남자
      여자

      핵심 코멘트

      • 필기합격인원은 선발인원 대비 남자 202%, 여자 352%로 지역별 필기합격인원은 선발인원별로 일정 배수가 정해져 있음. (공고 확인)
      • 최종합격인원은 선발인원 대비 남자 101%, 여자 100% 로 선발인원의 1배수 수준
      • 최종합격인원은 당해 년도의 필기성적, 체력시험, 면접결과를 종합하며 결정되며, 선발인원보다 많거나 적기도 함.
      필기 합격선(총점 기준, 합격선 높은 지역 순)
      남자
      여자

      ※ 2023년 미선발 지역 : 남자-세종 / 여자-울산, 세종

      핵심 코멘트

      • 남자 필기 합격선 가장 높은 지역은 대전 268점 > 경남, 경북, 광주, 대구, 부산, 인천, 제주 264점 순 (2023년 세종 미선발)
      • 여자 필기 합격선 가장 높은 지역은 경북 272점 > 부산, 전북 268점 > 경기, 대전 264점 순 (2023년 울산, 세종 미선발)
      • 필기 합격선은 시험 난이도, 선발 및 응시 인원 등에 의해 매년 달라지므로, 필기 합격을 위해 수험생은 최대한 고득점을 목표해야 함.
      소방단기 풀서비스 합격권 분석 ※ 분석 데이터 출처는 자사의 풀서비스로 기관 발표자료와 다를 수 있음.

      풀서비스 합격권이란?

      필기 합격선이 선발인원의 일정 범위에서 형성되는 누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풀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구분한 필기점수 상위권 그룹을 의미합니다.
      풀서비스에서는 합격권을 다시 합격확실권, 합격유력권, 합격가능권으로 세분화하여 더욱 정확한 합격예측이 가능합니다.

      과목별 점수
      남자
      남자
      구분 소방학개론 소방관계법규 행정법
      합격권 상위
      50%컷
      92 88 88
      합격권
      전체 평균
      91.9 87.5 87.1
      여자
      여자
      구분 소방학개론 소방관계법규 행정법
      합격권 상위
      50%컷
      96 88 88
      합격권
      전체 평균
      92.3 87.9 86.8

      핵심 코멘트

      • 자사 풀서비스 합격권 상위 50% 컷 점수가 합격권 전체 평균보다 대체로 높게 나타남.
      • 여자가 남자보다 과목별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남.
      • 남/여 지역별로 필기 합격선이 다르므로 평균 점수는 공무원 시험 정보로서 참고하되, 목표 지역의 합격선을 반드시 확인할 것.
      가산 자격 취득 비율 (단위:%)
      가산 자격 취득 비율
      구분 5% 3% 1% 없음
      남자 86.2% 7.6% 3.4% 2.8%
      여자 97.9% 1.7% 0.4% 0.0%

      ※ 가산대상: 필기·체력·서류전형·면접시험 및 신체 검사에 모두 합격한 자
      ※ 가산방법: 정해진 가산 분야별로 최대 5%이내에서 가산, 최종 환산 점수에 적용

      핵심 코멘트

      • 소방 5% 가산 분야소방업무관련분야, 한국어능력검정시험분야임.
      • 5% 가산은 소방업무관련분야의 경우 소방관련 국가자격 및 항해사, 조종사, 잠수기능장, 의사, 소방시설관리사 등이 있으며,
        한국어능력검정시험분야의 경우 한국어실용글쓰기검정 750점 이상, KBS한국어능력시험 770점 이상 국어능력인증시험 162점 이상임.
    • 2023년 1차
      인원현황(공채 기준) (단위:명)
      인원현황(공채 기준)
      구분 선발인원 출원인원 응시인원 필기합격인원 최종합격인원 필기합격비율 최종합격비율
      남자 1,398 21,498 비공개 2,374 1,398 170% 100%
      여자 365 10,928 비공개 777 365 213% 100%
      남자
      여자

      핵심 코멘트

      • 필기합격인원은 선발인원 대비 남자 170%, 여자 213%로 지역별 필기합격인원은 선발인원별로 일정 배수가 정해져 있음. (공고 확인)
      • 최종합격인원은 선발인원 대비 남자 100%, 여자 100%로 선발인원의 1배수 만큼 선발.
      • 최종합격인원은 당해 년도의 필기성적, 체력시험, 면접결과 및 가산점이 적용되어 최종 결정됨.
      필기 합격선(총점 기준, 합격선 높은 지역 순)
      남자
      여자

      핵심 코멘트

      • 남자 필기 합격선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 230점 > 경기북부, 부산 222.5점 > 경북, 광주, 서울, 충북 220점 순
      • 여자 필기 합격선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 232.5점 > 강원, 대구, 대전, 부산, 전북 230점 순
      • 필기 합격선은 시험 난이도, 선발 및 응시 인원 등에 의해 매년 달라지므로, 필기 합격을 위해 수험생은 최대한 고득점을 목표해야 함.
      경단기 풀서비스 합격권 분석 ※ 분석 데이터 출처는 자사의 풀서비스로 기관 발표자료와 다를 수 있음.

      풀서비스 합격권이란?

      필기 합격선이 선발인원의 일정 범위에서 형성되는 누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풀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구분한 필기점수 상위권 그룹을 의미합니다.
      풀서비스에서는 합격권을 다시 합격확실권, 합격유력권, 합격가능권으로 세분화하여 더욱 정확한 합격예측이 가능합니다.

      과목별 점수
      남자
      남자
      구분 헌법 형사법 경찰학
      합격권 상위
      50%컷
      47.5 87.5 95
      합격권
      전체 평균
      45.5 87.1 93.9

      ※ 과목별 만점 기준 : 헌법 50점 / 형사법, 경찰학 100점

      여자
      여자
      구분 헌법 형사법 경찰학
      합격권 상위
      50%컷
      47.5 90 97.5
      합격권
      전체 평균
      46.2 89.6 95.5

      핵심 코멘트

      • 자사 풀서비스 합격권 상위 50% 컷 점수가 합격권 전체 평균보다 대체로 높게 나타남.
      • 여자가 남자보다 과목별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남.
      • 남/여 지역별로 필기 합격선이 다르므로 평균 점수는 공무원 시험 정보로서 참고하되, 목표 지역의 합격선을 반드시 확인할 것.
      가산 자격 취득 비율 (단위:%)
      가산 자격 취득 비율
      구분 5점 4점 2점 없음
      남자 83.4% 11.3% 2.5% 2.8%
      여자 90.3% 6.1% 1.3% 2.3%

      ※ 가산대상: 경찰청이 정한 기한까지 자격증 사본을 제출한 자로서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
      ※ 가산방법: 가산 분야별로 정해진 점수를 최종 점수에 적용하여 최종 합격자 선정

      핵심 코멘트

      • 5점 가산을 취득한 비율이 남자 83.4%, 여자 90.3%로 가장 많음.
      • 경찰 5점 가산 분야에는 각종 기술자격과 한국어 및 외국어능력검정시험분야도 포함.
      • 한국어 및 외국어능력검정시험에서 가산 점수별 인정 성적 이상을 취득할 경우 가산점 취득 가능.
    • 2023년 2차
      인원현황(공채 기준) (단위:명)
      인원현황(공채 기준)
      구분 선발인원 출원인원 응시인원 필기합격인원 최종합격인원 필기합격비율 최종합격비율
      남자 1,398 20,713 비공개 2,423 1,398 173% 100%
      여자 365 10,552 비공개 727 365 199% 100%
      남자
      여자

      핵심 코멘트

      • 필기합격인원은 선발인원 대비 남자 173%, 여자 199%로 지역별 필기합격인원은 선발인원별로 일정 배수가 정해져 있음. (공고 확인)
      • 최종합격인원은 선발인원 대비 남자 100%, 여자 100%선발인원의 1배수 만큼 선발.
      • 최종합격인원은 당해 년도의 필기성적, 체력시험, 면접결과 및 가산점이 적용되어 최종 결정됨.
      필기 합격선(총점 기준, 합격선 높은 지역 순)
      남자
      여자

      핵심 코멘트

      • 남자 필기 합격선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 212.5점 > 경기남부, 광주 202.5점 > 대전, 울산, 전북 200점 순
      • 여자 필기 합격선 가장 높은 지역은 광주 217.5점 > 경기남부, 서울, 전남, 제주 215점 > 충남 212.5점 순
      • 필기 합격선은 시험 난이도, 선발 및 응시 인원 등에 의해 매년 달라지므로, 필기 합격을 위해 수험생은 최대한 고득점을 목표해야 함.
      경단기 풀서비스 합격권 분석 ※ 분석 데이터 출처는 자사의 풀서비스로 기관 발표자료와 다를 수 있음.

      풀서비스 합격권이란?

      필기 합격선이 선발인원의 일정 범위에서 형성되는 누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풀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구분한 필기점수 상위권 그룹을 의미합니다.
      풀서비스에서는 합격권을 다시 합격확실권, 합격유력권, 합격가능권으로 세분화하여 더욱 정확한 합격예측이 가능합니다.

      과목별 점수
      남자
      남자
      구분 헌법 형사법 경찰학
      합격권 상위
      50%컷
      42.5 87.5 80
      합격권
      전체 평균
      39.9 85.7 79.2

      ※ 과목별 만점 기준 : 헌법 50점 / 형사법, 경찰학 100점

      여자
      여자
      구분 헌법 형사법 경찰학
      합격권 상위
      50%컷
      42.5 90 85
      합격권
      전체 평균
      41.9 89.6 84.2

      핵심 코멘트

      • 자사 풀서비스 합격권 상위 50% 컷 점수가 합격권 전체 평균보다 대체로 높게 나타남.
      • 여자가 남자보다 과목별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남.
      • 남/여 지역별로 필기 합격선이 다르므로 평균 점수는 공무원 시험 정보로서 참고하되, 목표 지역의 합격선을 반드시 확인할 것.
      가산 자격 취득 비율 (단위:%)
      가산 자격 취득 비율
      구분 5점 4점 2점 없음
      남자 83.1% 11.0% 2.3% 3.6%
      여자 89.9% 6.7% 0.5% 2.9%

      ※ 가산대상: 경찰청이 정한 기한까지 자격증 사본을 제출한 자로서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
      ※ 가산방법: 가산 분야별로 정해진 점수를 최종 점수에 적용하여 최종 합격자 선정

      핵심 코멘트

      • 5점 가산을 취득한 비율이 남자 83.1%, 여자 89.9%로 가장 많음.
      • 경찰 5점 가산 분야에는 각종 기술자격과 한국어 및 외국어능력검정시험분야도 포함.
      • 한국어 및 외국어능력검정시험에서 가산 점수별 인정 성적 이상을 취득할 경우 가산점 취득 가능.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