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격수기 상세보기
법원
9급
법원직
합격 선배의 시험 정보
최종합격 | 2024 법원 9급 법원직 | 응시과목 | 국어, 영어, 한국사, 헌법, 형법, 형사소송법, 민법, 민사소송법 |
---|---|---|---|
총 수험기간 | 2년 6개월 ~ 3년 | 시험 응시 횟수 | 3회 |
합격 선배의 공부 스타일 및 합격수기
수험생활 | 아르바이트 병행 | 평균 학습 시간 | 8~10시간 |
---|---|---|---|
평균 회독수 | 3~4회 | 평균 문제풀이 권수 | 2권 |
하루 학습 계획 및 생활 패턴 |
<관리형 독서실 기준 생활 패턴> 7시 기상 8시 출발하여 8시 20분까지 착석 11시 40분부터 1시간 20분 점심시간 매교시 80분 공부 + 20분 휴식 17시 40분부터 1시간 20분 저녁시간 후 22시 20분까지 정규 수업 보통 23시까지 개인 자습 후 귀가 새벽 1시 30분 휴식 시간 갖고 취침 <하루 학습 계획> 독서실에 도착하여 국어, 영어를 간단히 풀고, 오전에 법과목1, 오후에 법과목2 그리고 저녁에 두과목 복습을 주로 하였습니다. 기출강의로 넘어가서는 단원을 정해두고 풀었고, 저는 해설까지 꼼꼼히 읽는 편이었기 때문에 하루에 법과목 하나를 학습하는 날도 많았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학원 시간표와 최대한 비슷하게 따라가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
||
과목별 학습법 & 수강 강사 및 활용 교재 |
<국어 : 이태종 선생님> |
||
면접 준비과정 | 처음 면접반 개강부터 인성 검사까지는 대부분 자기소개서 작성에 공을 들입니다. 이때는 선생님들과 조교님분들의 첨삭을 통해 가장 좋은 소재를 선정하고 그것을 풀어가는 과정이 중요했던 것 같습니다. 자기소개서를 제출하고 난 이후부터는 본 면접을 위해 인성 면접 질문과 전공 질문에 대한 답을 달게 되는데, 본인이 말로 설명할 수 있는 적절한 답을 찾기 위해 시간을 쏟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는 조원들과의 모의 면접을 통해 서로의 의견과 느낌을 공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처음에는 남 앞에서 본인을 설명하고 경험을 말하는 것이 어색하고 쑥스럽지만, 후에는 적응이 되어 다른 조와도 섞어 모의 면접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최종적으로는 선생님들과 조교님들과의 모의 면접을 통해 자세와 태도 그리고 조원끼리 하기는 어려운 전공질문과 시사 문제를 점검받아 면접장에 가게 됩니다. |
||
수험생활중 어려웠던 점과 극복방법 |
저는 노는걸 좋아합니다. 그래서 공부에 치여 생활하는 것이 처음에는 어려웠습니다. 초시때는 어떻게든 일주일에 하루는 다 쉬어야 한다며 꾸역꾸역 쉬려고 안간힘을 썼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하니 일주일 내에 덜 마무리 된 부분이 있어 찝찝하기도 하고 또 하루 빡시게 놀다보면 다음날 다시 책상에 앉아 집중하기 힘든 경우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나중에는 힘들어도 조금 더 앉아 있으려 노력했습니다. 지금 당장에는 못참고 뛰쳐나가고 싶지만 그 상태로 20분만 더 앉아 있다보면 또 신기하게 집중이 됩니다. 그리고 그런 날에는 참고 이겨냈다는 그 만족감에 조금 더 상쾌하게 집에 돌아가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본인에게 만족스러운 날이 쌓이고 쌓이다 보면 그게 일상이 되어 나중에는 자연스럽게 공부시간과 집중시간이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당장은 힘들고 포기하고 싶으시겠지만 마지막은 해피엔딩이 될 수 있다는 마음을 놓지 마시고 끝까지 최선을 다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
||
합격으로 이끈 나만의 학습 전략 KEY POINT |
그 날의 힘듦은 그 날로 끝냈습니다. 우울과 힘듦은 빨리 없애려 노력하고 최대한 평정심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공부에 치여 생활하는 와중에도 힐링 할 거리를 찾았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카페가서 음료 사마시는 것을 좋아했는데, 비록 금전적인 부담은 있었지만 매일 마시고 싶은 메뉴를 생각하며 오후와 저녁을 버틸 수 있었습니다. 완벽에 집착하지 않았습니다. 법원직은 하루 할당량을 끝내는거 그 자체가 이미 고비입니다. 굳이 완벽이란 틀에 갇혀 본인을 괴롭히지 마세요. 모든 과목을 완벽하게 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되 그 대신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하지 않나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