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격수기 상세보기
지방직
9급
사회복지
합격 선배의 시험 정보
최종합격 | 2024 지방직 9급 사회복지 | 응시과목 | 국어,영어,한국사,행정법총론,사회복지학개론 |
---|---|---|---|
총 수험기간 | 1년 6개월~2년 | 시험 응시 횟수 | 2회 |
합격 선배의 공부 스타일 및 합격수기
수험생활 | 전업 수험생(휴학생 포함) | 평균 학습 시간 | 10~12시간 |
---|---|---|---|
평균 회독수 | 3~4회 | 평균 문제풀이 권수 | 4권 이상 |
하루 학습 계획 및 생활 패턴 |
23년도 시험대비로 3개월간 다닌 관리형 스터디카페 시간표와 비슷하게 저만의 생활 방식을 정하였습니다. 1. 입실 08:00~09:00 (8시 30분까지는 착석 후 계획하거나 머리 풀기) 2. 순공 1time 09:00~10:40/20분 휴식/11:00~12:40 3. 점심시간 12:40~14:00 4. 순공 2time 14:00~15:40/20분 휴식/16:00~17:40 5. 저녁 시간 17:40~19:00(18시 40분부터는 머리 풀기) 6. 순공 3time 19:00~20:40/20분 휴식/21:00~22:40 (하루 목표 다 못 끝내면 추가 공부, 그러나 다음날 공부 위해 1시 안에는 취침) 순공 타임에는 자리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최대한 집중하려 하였고, 휴식 시간에는 머리를 식혀주기 위해 10분 이상을 쉬려고 했습니다. 스터디카페가 집에서 걸어서 10~15분 거리라, 여유가 있을 때는 점심과 저녁 시간에 운동 겸 다녀왔지만, 시험 직전 2개월 동안은 점심만 다녀오고 저녁에는 도시락을 먹었습니다. 일주일에 6일 동안 이 시간표를 유지하며, 하루는 오전에만 공부하거나 친구를 만나고, 또는 충분한 휴식을 취했습니다. 순공 1time에는 영어, 국어를 공부했고, 순공 2time과 3time에는 한국사, 전공과목 중 두 과목을 선택해 공부했습니다. |
||
과목별 학습법 & 수강 강사 및 활용 교재 |
[국어] 이선재T/권규호T 문학 : 이선재T 한권 마무리 강의를 통해 개념을 다시 정리하였고, 기출실록과 다양한 모의고사를 통해 문제 푸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시험 직전에도 감을 잃지 않기 위해 짧은 특강을 수강하였습니다. 문법 : 이선재T 한권마무리는 조금 깊은 부분까지 있어 회독을 돌리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이선재T 2023 딱공 핵심노트 50교재와 2023 강의노트는 핵심만 나와있어, 반복적으로 학습하였고 기출실록과 다양한 모의고사를 통해 문제 푸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시험 직전에는 휴대성 좋은 2023 강의노트를 시간 날 때마다 눈으로 익혔습니다. 한자&한자성어 : 이번 출제 기조에 한자와 한자성어는 많이 나오지 않을 것이라 판단되어 스터디 카페에 오고 가는 시간에 이선재T 술술 한자 강의를 핸드폰으로 보며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였습니다. 수험기간동안 전체 강의를 6번 정도 들은 것 같습니다. 한자성어도 놓칠 수 없어서 권규호T 한자성어 암기노트를 활용해 자투리 시간에 눈으로 읽었습니다. [영어] 이동기T/심우철T [학습법] |
||
수험생활중 어려웠던 점과 극복방법 |
재시험이다 보니 정신적인 부담이 컸던 것 같습니다. 25세라는 나이는 비교적 젊었지만, 주변 친구들 중에는 이미 취업하거나 인턴을 하고 있는 이들이 있어, 공부만 하고 있던 저는 뒤처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번 시험에 합격할 것이라는 자신감도 없었기에, 큰 불안을 느꼈습니다. 특히, 불합격 후 충분히 쉬다가 12월부터 재시험 준비를 시작했기 때문에 더욱 그랬던 것 같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쉬는 기간이 있었기에 약 7개월 동안 집중하여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공단기 선생님들께서 말씀하신 대로 불안하면 그냥 공부했습니다. 시간표를 철저히 지켜 불안에 빠질 시간을 최소화했습니다. 작년에 합격에 대한 기대가 컸던 만큼 좌절감도 컸기에, 이번에는 합격 후의 계획을 거의 세우지 않았습니다. 또한, 불합격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크게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감정을 절제하며 기계적으로 공부했습니다. 하지만, 불합격에 대비한 계획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공시 공부와 함께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을 취득했습니다. 수험기간 동안 정신적 관리는 필수적이므로,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
||
합격으로 이끈 나만의 학습 전략 KEY POINT |
일반적으로 커리큘럼은 개념, 기출, 요약집, 문제 풀이, 모의고사 순으로 되어있고, 추가적인 보충 강의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처음 시험 준비를 할 때는 학습 방법을 잘 몰라, 모든 커리큘럼을 무리하게 따라가려고 했습니다. 재시험 준비를 시작할 때, 이미 개념이 어느 정도 잡혀 있었기 때문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개념강의를 생략하고, 기출 문제, 요약집, 문제 풀이, 모의고사, 필요한 보충 강의를 포함한 7개월간의 학습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그 후, 월별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주 단위 목표를 세운 후, 일일 계획을 구체화했습니다. 국어와 영어 과목에서는 80점 이상을, 나머지 과목에서는 90점 이상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2023년 지방직 시험을 바탕으로 약한 부분을 반드시 보완하고, 지속해서 저 자신을 점검하여 부족한 부분이 없도록 노력했습니다. 이 전략이 저에게 효과적이었으며, 그 결과 평균 90점이라는 만족스러운 성과를 거둘 수 있었습니다. 저의 학습 방법이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것은 아닙니다. 저는 아침부터 저녁까지 규칙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적합했지만, 누군가는 새벽 시간대에 공부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저는 반복 학습에 효과적인 강의만 수강했지만, 모든 커리큘럼을 듣는 것이 더 적합한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자신에게 맞는 학습 방법을 찾기 위해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시도해 보세요. 특히 저와 같은 재시험 준비생들은 자신이 모든 내용을 충분히 알고 있다고 착각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절대 자만하지 말고, 끊임없이 자신을 점검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