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합격전략

기타
국가직 공통과목 2016년~2020년 기출문항 분석 [국어]

조회 170

2022.01.02



공무원 시험은 한 두 문제 차이로 당락이 결정될 만큼 경쟁이 치열하다. 실제로 공단기 풀서비스 이용회원들의 성적을 분석해 보면, 2020년 국가직 일반행정 직렬에서 1~2문항 차이로 불합격한 수험생이 383명으로 나타났다. 국가직 선발인원이 279명인 것을 고려할 때, 선발인원 대비 1.4배에 해당하는 인원이 단 1~2문항으로 불합격한 것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합격을 위해서는 실수를 최대한 줄이고 고난도 문항을 맞춰야 한다. 2016~2020년 국가직 공통과목의 단원별 출제 경향을 살펴보고, 학습 계획을 세우는데 참고하자.


*출제 단원 구분은 자사 내부 기준 분류 값
*전체 : 자사 풀서비스 전체 이용회원 DB근거, 정답률 70% 미만 문항 수
*합격생 : 자사 풀서비스 기준 합격 컷 이상 수험생 DB근거, 정답률 70% 미만 문항 수 


▘출제단원



2016~2020년 국가직 기출문항 출제 단원을 살펴보면 ‘문법&규범’과 ‘문학’이 소폭 줄어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문학’과 ‘작문&화법’은 꾸준히 증가해 2019년부터 비문학은 5문항, 작문&화법은 3-4문항씩 출제 되고 있다. 2020년 ‘어휘’, ‘비문학 한자성어’를 모두 ‘한자어’로 분류 했을 때, 문법&규범, 작문&화법, 문학은 4문항, 비문학 5문항, 한자어 3문항으로 단원별로 골고루 출제 되고 있다.



▘정답률 70% 미만 문항 수



정답률 70% 미만 문항은 주로 ‘문법&규범’과 ‘어휘’ 단원에서 나타났다. 2016~2020년 정답률 70% 미만 문항도 문법&규범 단원에서 16문항 → 어휘 12문항 → 문학 6문항 → 비문학 3문항 → 작문&화법 및 문학 한자성어에서 1문항 순으로 나타났다. 

시험이 매우 어려웠다고 평가되는 2018년도 시험을 제외하면 국어에서 합격과 불합격을 가른 단원은 ‘문법&규범’ 및 ‘어휘’ 임을 알 수 있다. 특히 2020년 시험에서는 어휘 단원에서 1문항, 2019년에는 문학한자성어에서 1문항, 2017년 하반기 시험에서는 문법&규범 3문항+어휘 2문항, 2017년 상반기에는 문법&규범 3문항+어휘 1문항, 2016년에는 문법&규범 3문항+어휘 1문항이 합격에 근접한 국어 성적을 결정했다고 볼 수 있다. (2019년 문학한자성어는 어휘로 분류) 반면, 대부분의 수험생이 어렵게 생각하는 문학과 비문학은 오히려 높은 정답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