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합격전략

합격전략
합격생 학습경향분석 - 학습시간 배분경향

조회 494

2022.02.10




“공부는 혼자 하는 것이다.”는 말을 많이 들어 봤을 것이다. 이 말이 강의를 배제하고 독학을 하라는 말이 절대 아니다. 1타 교수님, 좋은 교재를 활용해서 학습에 도움을 받는 것이 단기 합격에 분명 필요하다. 여기서 하고 싶은 말은, 강의를 충분히 활용하되 본인 스스로 복습하고 정리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단기, 비단기 합격생들의 1일 학습 시간과 자습시간 비중을 살펴보고 계획을 세우는데 참고하자.


1일 학습시간은 최소 11시간 확보하자!
합격생의 강의 시간과 자습 시간을 더한 1일 학습 시간은 약 11시간 정도로 나타났다. 1일 학습시간은 단기 합격생과 비단기 합격생의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시간과 자습 시간으로 나누어 보면,  비단기 합격생은 강의 시간이, 단기 합격생은 자습 시간이 조금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학습 초기부터 자습 시간 비중을 높여라!
학습 시간 대비 자습 시간 비율을 살펴보면, 모든 학습 시기에서 단기 합격생이 비단기 합격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단기 합격생은 자습 시간 비율을, 33.6% → 47.0% → 64.0% → 76.1%로 높여갔다. 수치상으로는 비단기 합격생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보이지만, 전체 학습 기간으로 환산하면 큰 차이다. 

단기 합격생의 시기별 강의-자습 시간을 살펴보면 학습 중기와 후기 사이 (수험 시작 후, 약 7개월)부터 교차하기 시작했다. 단기 합격을 목표로 한다면 6개월 이후부터는 강의 의존도를 낮추고 자습 시간을 늘려 본인의 약점을 찾고 보완해 나가는 자기주도 학습 노력이 필요하다.







1일 총 학습 시간은 11시간 확보하자. 학습 초기에는 강의 시간이 많을 수밖에 없지만, 적어도 6개월 이후부터는 강의 의존도를 낮추고 자습 시간을 많이 확보하도록 계획을 세우자. 강의를 통한 학습도 중요하기 때문에 무조건 일정 시간을 자습에 배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자습의 중요성을 잊지 않고 학습 계획을 세우다 보면 자습 시간 비중이 늘어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