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합격전략

시험분석
[군무원] 2022년 군무원 공채 경쟁률 및 필기합격선

조회 506

2022.11.16



군무원은 국방부와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에 소속되어 군에 필요한 행정업무 및 분야별 전문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이다.
시험을 통해 9급과 7급을 공무원을 선발하며, 매년 1회 정기 채용한다.
연간 시험일정을 살펴보면, 4월중 채용계획 공고를 시작으로 7월에 필기시험을 실시하고,
이후 8월에 필기합격자를 발표한다. 필합자를 대상으로 9월에 면접 실시, 10월에 최종합격자를 발표한다.
군무원은 거주지 제한과 지역구분 없이 각 군의 직렬별로 채용하므로, 수험생은 희망 직렬을 선발하는 군을 선택 해 응시하면 된다. 

군무원도 다른 공무원처럼 일반행정을 비롯해 전산, 전기, 통신, 토목, 건축 등 다양한 직렬에서 인재를 채용하는데,
군무원 직렬 중에는 군수, 탄약, 차량, 병리, 총포 등 군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만큼 군의 특수성이 반영된 직렬이 많다.
업무의 특수성으로 인해 지원 시 자격증이 필요한 직렬도 있으므로, 군무원에 관심 있는 수험생이라면
채용공고를 꼼꼼히 확인하고 지원자격에 필요한 사항을 빠짐없이 준비해야 한다.

군무원의 여러 직렬 중에서도 시험과목이 일반 공무원과 유사해 많은 수험생들이 관심을 갖는 직렬인
행정, 전산, 군수, 사서, 수사, 토목, 기계, 건축, 환경 등의 직렬을 기준으로 2022년 군무원 9급 경쟁률과 필기합격선을 살펴보자.





2022년 군무원 9급 
채용 및 출원인원 감소 


행정, 전산, 군수, 사서, 수사, 토목, 기계, 건축, 환경 9개 직렬 기준으로 군별 전체 채용인원은 975명으로 전년보다 623명 감소했다.
출원인원은 39,641명으로 채용인원과 마찬가지로 전년보다 3,331명 감소했다.
출원인원 감소 폭이 채용인원보다 커, 9개 직렬의 전체 출원경쟁률은 전년보다 13.8p 오른 40.7대 1을 기록했다. 








국방부,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중 미선발 9개 직렬 중 군별로 미선발 일부 직렬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인원을 채용하는 군은 육군으로 전년보다 414명이 감소한 642명을 채용공고했다.
다음으로 국방부가 118명, 공군이 90명, 해군 83명, 해병대가 42명 순이다.







각 주관 군의 채용인원을 직렬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9개 기준 직렬을 중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것을 행정직과 군수직이다.
주관 군별 채용인원을 통합했을 때, 행정직은 총 324명, 군수직 245명 규모로 채용을 실시했으며, 다음으로 전산직 216명, 기계 68명 순이었다. 






주관 군 중에서 출원 경쟁률이 가장 높은 곳은 국방부로 전체 93.3대 1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공군과 육군이 각각 36.9대 1, 34.8대 1 수준을 보였다.
경쟁률은 군별로 임용 후 근무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다.
최종 합격 후에는 합격한 주관 군의 지역별 부대 혹은 산하 기관으로 배속되는데, 국방부는 주로 수도권이라 수험생이 인기가 높은 편이다. 









주관 군별 시험결과
채용 및 출원인원, 필기합격선 


국방부의 행정직은 전년보다 채용인원과 출원인원이 모두 감소했지만,
오히려 경쟁률은 전년보다 크게 올라 무려 167.8대 1을 기록했다.
이외 직렬도 경쟁률 수치가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10명 이내의 적은 채용규모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필기합격선은 평균 70점 중후반대로 형성되며 2022년에 행정직은 78.67점, 사서와 수사직이 80점대를 기록했다. 






육군의 행정직은 196명 선발에 전년보다 767명 늘어난 14,549명이 지원해 74.2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필기 합격선은 77.33점으로 전년보다 4점 하락했다.
행정직 다음으로 많은 인원을 선발한 군수직의 필기합격선은 전년보다 무려 8점 상승한 84점을 기록했다.
수험생에게 인기가 있는 군과 직렬에서 안정적으로 필기에 합격하려면 직렬별로 차이는 있겠으나, 성적을 최소 80점 이상으로 관리할 것을 추천한다. 







해군은 국방부와 육군과 비교하면 채용규모가 작은 편이다.
2022년에 행정직은 전년보다 13명 늘어난 30명을 선발, 출원인원도 증가해 57.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필기 합격선은 77.33점으로 전년보다 1.3점 하락했으나, 안정적인 필기 합격을 위해서는 최소 80점 이상 획득이 필수다. 






해병대는 군 중에서 채용인원이 가장 적고, 전체 평균 필기 합격선도 주관 군 중에서 가장 낮은 편이다.
물론 직렬에 따라서 필기합격선이 80점 중후반대까지 높은 직렬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다른 군보다는 합격선이 낮게 형성된다.
일단 행정직만 보면 2022년 16명 채용에 231명이 지원해 경쟁률은 14.4대 1을 기록했다.
합격선은 69.33점으로 전년과 비교해 12점이나 하락했다.
필기합격선은 당해년도의 채용 및 출원규모, 시험 난이도 등 대외 요인의 영향도 적지 않게 받기 때문에,
목표 점수를 설정할 때는 전년 혹은 올해 점수에만 딱 맞추려 해서는 안 된다.
최소 2개년 필기합격선을 확인하고 평균치의 +3~5점 이상 고득점을 목표해야
대외 요인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점수를 확보할 수 있다. 






공군은 2022년에 행정보다 군수직 채용인원이 더 많았다.
군수 33명, 행정 29명을 채용공고했으며, 경쟁률은 행정직이 74.3대 1로 군수직 22.9대 1보다 높게 나타났다.
합격선은 군수직이 84점으로 행정직 76점보다 높았다. 








[참고]
2022년 군별 
국방부/육군/해군/공군/해병대
전 직렬 채용인원 현황 (인원 많은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