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합격전략

합격전략
[9급] 2022년 합격생 분석│단기합격의 첫 시작, 합격 목표기간 설정

조회 1078

2023.01.18



‘합격까지 목표하는 수험기간은 몇 개월 인가요?’

합격까지 목표하는 수험기간은 전체 학습방향과 구체적인 학습계획을 수립하는 ‘첫 시작점’이 된다.
목표 기간을 6개월, 12개월, 24개월 등 어느 정도 기간으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과목별 학습 우선순위, 시기별 강의수강, 회독 전략, 일평균 학습시간 등 전체적인 학습계획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12개월 이내에 필기에 합격한 단기 합격생과 12개월을 초과해 18개월, 24개월 이상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필기에 합격한 비단기 합격생은 ‘합격 목표기간’을 어떻게 설정했을까? 
(※ 데이터 출처 : 자사 수험생 대상 조사 결과 기준)



┃단기 VS. 비단기 : 합격 목표기간 설정 경향
 - 9급 공무원, 경찰, 소방 합격생 동일한 경향성 확인
 - 단기 합격생은 70%이상이 6~12개월 이내로 설정
 - 비단기 합격생은 13~18개월 이상 비율이 최대 80%까지 차지
 

9급 공무원 시험의 단기 합격생과 비단기 합격생의 합격까지 목표한 수험기간을 비교해 보면,
12개월 이하로 설정한 비율은 단기 합격생 72.6%, 비단기 합격생이 24.2%로 나타났다.
특히 필기합격까지 12개월을 초과한 기간이 소요된 비단기 합격생은 목표기간 설정에서 13개월~24개월 구간의 비율이 단기 합격생과 비교해 더욱 높게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경찰 공무원 시험 단기 합격생의 81.2%가 12개월 이내 합격을 목표로 설정한 반면,
비단기 합격생 중에서 12개월 이내에 합격을 목표한 수험생은 38.5%에 불과했다.
또한 목표기간을 19~24개월로 설정한 비율이 단기는 단 7.4%에 불과했으나, 비단기는 34.6%로 기간 구간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소방 공무원도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단기 합격생 중 88%는 12개월 이내 합격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으나,
합격까지 12개월을 초과한 기간이 걸린 비단기 합격생은 단 20%만이 12개월 이내 합격을 목표했다.
비단기 합격생 중 합격 목표기간을 12개월을 초과해 길게 설정한 비율은 무려 80%를 차지했다. 





12개월 이내에 필기에 합격한 단기 합격생은 합격 목표기간 설정부터 비단기 합격생과 비교해 다른 경향성을 보였다.
수험생 개인의 상황에 따라 목표로 삼는 기간은 다를 수 있으나,
빠른 합격을 원한다면 합격까지 목표하는 수험기간부터 ‘단기’로 설정해야 한다. 




┃합격 목표기간에 따른 실제 필합 소요기간 차이
 - 단기 합격생 : 실제 필합까지 걸린 기간이 목표기간 보다 감소
 - 비단기 합격생 : 실제 필합까지 걸린 기간이 목표보다 증가


합격 목표기간 차이에서 오는 영향력은 필기합격까지 목표한 수험기간과
실제 합격까지 걸린 수험기간을 단기 합격생과 비단기 합격생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목표기간을 12개월 이내로 설정한 비율이 높았던 단기 합격생은 필합까지 걸린 실제 수험기간이 목표기간보다 오히려 감소한 경향이 나타났다.
목표한 기간보다 더 빠른 기간 안에 필기합격에 성공한 것이다.
반면, 목표기간을 12개월 초과하여 길게 설정한 비율이 높았던 비단기 합격생은 실제 필기 합격까지 걸린 기간이
목표보다 증가해 필합까지 더 오랜 기간이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에 합격하는 것이 목표인가요?'

그렇다면 지금 내가 목표하고 있는 수험기간을 점검하자.
혹시,정확한 기간을 정하지 않은채 막연히 합격을 바라면서 흘러가듯이 공부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목표가 단순히 ‘합격’ 그 자체인 것‘합격을 위해 언제까지, 무엇을, 어떻게, 얼마나 할 것인지’가 목표인 것은 완전히 다르다.
응시 한번에 바로 합격을 원한다면 합격 목표기간부터 ‘단기’로 설정하라.
그리고 목표한 수험기간을 다시 기간별로 쪼개 목표 학습량을 설정하고 매 시기 100% 달성을 목표로 학습량을 채워 나간다면,
분명 목표기간 안에 필기합격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단기합격의 길, 공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