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합격전략

합격전략
[9급] 2023년 합격생 분석│단기 vs. 비단기, 회독기간과 기출학습 시기 비교

조회 1235

2023.08.04



※ 2023년 공단기 출신 자사 회원 9급 행정직군 필기시험 응시자 대상 설문 조사결과 기준


[단기합격전략 1]
최초 회독 빠르게 완료, 회차별 회독방법 선택과 집중 중요


- 최초 회독 소요기간, 단기 합격생 평균 2.2개월로 비단기 보다 1.4개월 더 빠름. 
- 회독 회차별 학습범위 선택과 집중, 회독 속도 조정하여 시험 직전까지 회독 기간 점차 단축

 
12개월 이내에 합격한 단기 합격생과 12개월을 초과해 합격한 비단기 합격생의 개념이론 학습 최초 회독에 걸린 기간을 조사한 결과,
단기 합격생이 평균 2.2개월, 비단기 합격생이 3.6개월로 단기가 비단기 보다 평균적으로 1.4개월 더 빠르게 회독을 완료했다. 

과목별로 살펴보면 단기 합격생은 국어 2.2개월, 영어 2.1개월, 한국사 2.4개월, 전문과목 2.9개월로
과목 중에서 최초 회독 완료에 걸린 기간이 가장 길었던 과목은 전문과목으로 나타났다.
비단기 합격생도 마찬가지로 전문과목이 4.1개월로 다른 과목에 비해 최초 회독에 걸린 기간이 가장 길었다.  






전문과목은 직렬별 실무와 직결되는 과목으로 고등교육과정이나 해당 분야의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학습 경험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공무원 시험에서 처음 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전문과목은 중등교육과정에서 이미 학습한 경험이 있어 익숙한 국어, 영어, 한국사와 달리
용어와 개념이 낯설어 수험생이 느끼는 학습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최초 회독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보인다. 



학습 초반에 진행되는 최초 회독과 달리 시험직전에 진행하는 마지막 최종 회독에 걸린 기간은
최소 3일 이내에서 1주 안에 완료하는 모든 과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가장 짧은 기간인 ‘3일 이내’ 회독 완료는 영어가 52.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국어 38.9%, 한국사 30.6%, 전문과목 19.4%로 나타났다.
반면, 전문과목은 2주~4주, 최대 6주까지 걸렸다는 응답률이 다른 과목보다 높아,
전문과목에 수험생이 느끼는 학습 난이도와 부담이 공통과목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회독 기간에는 수험생이 느끼는 과목별 난이도나 부담감 이외에도 ‘어떻게 회독하는가’하는 ‘회독 방법’도 영향을 미친다.
이에 대한 조사를 위해 회독 방법은 학습의 ‘범위’와 ‘속도’로 구분하였으며,
‘범위’는 전체 범위를 모두 동일하게 학습하는 ‘처음부터 끝까지’와
전체 범위를 학습하면서도 특정 범위를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모르는 것 위주’로 구분하였다.
‘속도’는 충분한 시간을 들여 학습하는 ‘자세하게 정독하기’와 이보다 빠르게 더 많은 범위를 학습할 수 있는 ‘빠르게 훑어보기’로 구분했다. 

이를 기준으로 단기 합격생의 최초 회독과 최초 회독 이후 2회차 부터의 회독방법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조사한 결과,
최초 회독 시 속도는 ‘자세하게 정독하기’와 ‘빠르게 훑어보기’가 모두 높았으며,
특히 학습 범위에 있어 ‘처음부터 끝까지’가 ‘모르는 것 위주’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2회차 회독부터는 학습 범위에서 ‘모르는 것 위주’의 비율이 최초 회독보다 증가했다.
특히, 최초 회독 시에 약 40%대로 높았던 ‘처음부터 끝까지 자세하게 정독하기’ 비율이 약 10%대로 감소했다.
2회차 회독부터 ‘빠르게 훑어보기’와 ‘모르는 것 위주로’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때,
최초 회독 이후부터 점차 회독 속도를 높여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개념이론 학습을 위한 회독은 공무원 수험에서 매우 기본적이며 정답을 찾아낼 수 있는 능력을 만드는 필수 학습이다.
단기 합격생은 비단기보다 빠르게 회독을 완료함은 물론 2회차 회독부터는 회독 속도를 점차 올려
수험기간 안에 반복 회독에 필요한 시간을 최대한 확보했다. 







[단기합격전략 2]
기출학습은 빠르게 시작, 파이널이 아닌 ‘항시 학습’도구로서 활용


- 단기 및 비단기 합격생 모두 기출학습을 개념이론 1회독 후 및 동시 시작 비율 높음.  
- 학습내용 확인 및 자가진단을 위한 ‘항시 학습’ 도구로서 활용 

 
과목별로 개념이론 학습의 기본인 ‘회독’을 기준으로 기출학습 시작시기를 조사한 결과,
단기 합격생과 비단기 합격생 모두 국어, 영어, 한국사, 전문과목에서 1회독 후 기출을 시작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 시기는 ‘동시 시작’으로, 합격생의 기출 시작 시기는 ‘동시 시작~1회독 후’ 시작 비율이 국어, 영어, 한국사 약 80%,
전문과목 약 70%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앞서 살펴본 조사결과와 같이 단기와 비단기 합격생 모두 기출학습을 개념이론 학습과 비슷한 시기에 병행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학습 내용 자가 진단 방법’ 조사에서도 ‘기출을 포함한 다양한 문제풀이’가 단기 합격생 58.3%,
비단기 합격생 54.8%로 가장 높게 나타나, 기출학습을 개념이론 학습과 병행하는 경향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공무원 시험에서 기출은 매우 중요하다. 합격생은 기출을 파이널 학습이 아니라,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적용하는 방법을 습득하기 위한 ‘항시 학습’ 도구로 활용했다.
또한 기출학습에서 제대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기출문제를 풀 수 있는 수준의 기본기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개념이론 학습이 동시에 혹은 최소 1회독 후에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출학습은 개념이론 학습을 위한 회독을 기준으로 1회독 혹은 최초 회독과 동시에 시작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그래야 진도별 학습내용 확인은 물론 출제경향까지 확인하여 1석 2조의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