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합격전략

합격전략
[9급] 2023년 합격생 분석│단기 vs. 비단기, 학습계획 수립과 학습시간 비교

조회 1137

2023.07.21



※ 2023년 공단기 출신 자사 회원 9급 행정직군 필기시험 응시자 대상 설문 조사결과 기준


[단기합격전략 1]
검증된 커리큘럼 바탕, 일 단위로 학습계획 구체적으로 수립


- 단기 합격생은 일 단위로 수립하는 50%로 가장 높음. 
- 학습계획 수립 시 참고 자료는 강의 커리큘럼, 합격수기 순

 
수험기간 동안의 학습계획을 수립할 때 단기 합격생의 50%가 일 단위 즉, 일별로 학습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자치한 것은 주 단위로 조사대상 중 단기 합격생의 33.3%가 응답했다.
반면, 비단기 합격생은 일 단위와 주 단위의 비율이 각각 38.7%로 가장 높았으며,
단기 합격생과 비교해 1개월, 3개월(분기), 6개월, 1년에 이르는 장기간을 기준으로 학습계획을 수립한다는 비율이 더 높았다.






학습계획을 세울 때 어떤 자료를 참고 하는지에 대한 조사에서는 단기와 비단기 모두 ‘강의 커리큘럼’을 참고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특히, 강의 커리큘럼을 참고하는 비율을 단기와 비단기 합격생으로 구분해 비교할 경우,
단기 합격생은 63.9%, 비단기 합격생은 53.8%로 단기 합격생이 비단기 보다 학습계획 수립 시 강의 커리큘럼을 더 많이 참고했다.





조사대상 중 단기 합격생의 절반 이상이 오랜기간 합격자를 배출해 온 강사와 전문가들이 만든 커리큘럼을 바탕으로학습계획을 일 단위로 세분화하여 수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계획을 어떻게 세워야할지 막막하다면 강사 및 전문가가 수립한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합격생의 합격수기까지 종합적으로 확인해 볼 것을 추천한다.





[단기합격전략 2]
학습시간은 구체적으로 설정, 계획은 80%이상 반드시 실행


- 단기 합격생이 비단기보다 계획 실천율 80%이상 구간에서 더 높은 비율 차지 
- 필기 합격생과 불합격생 비교 시, 필기 합격생이 학습시간을 더 구체적으로 설정 


학습계획 실천율 조사에서 계획의 80%이상 실천한 비율은 단기 합격생이 63.9%로 비단기 51.7%보다 높았다.
비단기 합격생은 70%~50%이하 구간에서 단기 합격생보다 높은 비율을 보인 반면,
단기 합격생이 계획 실천율 70%~90%의 상위 구간에서 비단기 합격생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수험기간 동안 학습 집중력을 유지하기 위한 노하우를 확인하기 위해 필기 합격생과 불합격생으로 구분해 조사한 결과,
필기 합격생은 학습시간을 구체적으로 정하고 실행할 때는 타이머나 어플 등을 활용한다는 비율이 36.4%로 가장 높았다.
필기 불합격생도 합격생과 마찬가지로 구체적으로 시간을 설정한다는 비율이 33.9%로 가장 높았으나,
‘학습 멈추고 휴식’, ‘휴식시간 미리 설정’ 등 ‘휴식’ 시간을 확보하는 항목의 비율이 필기 합격생보다 높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단기합격전략 3]
초기>수강, 후기>자습에 집중, 학습시간을 최대한 확보


- 수험 초기에서 시험직전으로 갈수록 수강시간이 줄고 자습시간이 증가 
- 단기 합격생이 비단기보다 일평균 자습시간은 0.9시간, 일평균 총 학습시간은 0.4시간 더 많음. 


수험 시기별 일평균 수강시간을 조사한 결과, 단기와 비단기 합격생 모두 시험 직전으로 갈수록 배우는 시간인 수강시간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시기별 수강시간은 단기 합격생이 비단기보다 소폭 적었으나 차이가 크지는 않았다.
수강을 제외한 순수 자습시간은 수강시간과 달리 시험 직전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기 합격생이 비단기보다 평균 0.9시간 더 많이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강시간과 자습시간을 통합한 일평균 총 학습시간도 단기 합격생이 11.5시간, 비단기 11.1시간으로 단기가 0.4시간 더 많았다.
수치로 보면 매우 적은 시간처럼 보이지만, 12개월 내외의 긴 수험기간 동안 매일 매일의 학습시간이 점차 누적되는 것을 감안한다면
시간이 갈수록 단기와 비단기의 격차를 만드는 중요한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학습의 완성도는 질과 양, 두 가지를 얼마나 균형감있게 지속하느냐에 달려있다.
이때 ‘지속’은 공들인 시간만큼 누적된 학습의 양적 증가를 의미하며,
목표한 기간 동안 꾸준히 학습을 지속한 수험생이 결국에는 필기 시험에 합격할 수 있다.
합격생 조사에서 확인한 것 처럼 단기와 비단기 합격생의 일평균 총 학습시간 차이는 0.4시간으로 매우 적었지만,
결과적으로 단기와 비단기 합격을 만드는 결정적 차이점이 되었다. 


매일 매일 10시간 내외의 학습을 지속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결코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나보다 먼저 단기에 합격한 합격생처럼, 계획을 꾸준히 지속할 수 있는 힘만 있다면,
단기 합격은 특별한 사람이 아닌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