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합격전략

합격전략
[군무원] 2023년 합격생 분석│시작부터 다른 단기 합격생의 수험 시작 단계

조회 288

2023.10.27



※ 자사 출신 회원 군무원 필기 시험 응시자 대상 2023년 설문 조사결과 기준


[단기합격전략 1]
필기시험 학습시간 확보위해 검정성적 취득은 최대한 빠르게!

- 조사대상 합격생 전체 중 절반 이상이 대부분 ‘수험시작 전’에 취득
- 특히, 단기 합격생이 비단기보다 검정성적 ‘수험시작 전’ 취득 비율 높음. 


군무원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영어와 한국사 검정시험 성적이 필요하다.
영어와 한국사 검정성적은 수험생이 원서접수 시에 제출해야 하는 응시자격이 되는 성적으로 원서접수 전까지 반드시 준비해야 한다.
공단기 출신 군무원 필기 합격생을 대상으로 영어와 한국사 검정성적을 언제 취득했는지 수험시작 시점 전과 후를 기준으로 조사했다. 

조사 결과, 12개월 이내에 필기 시험에 합격한 단기 합격생이 비단기 합격생보다 ‘수험시작 전’ 취득 비율이 영어와 한국사 모두 높게 나타났다.
영어는 ‘수험시작 전’ 취득 비율이 단기 합격생과 비단기 합격생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단기 합격생이 70.3%, 비단기 합격생이 67.3%로 단기 합격생이 소폭 더 높았다.
반면, ‘수험시작 후’ 비율은 단기 합격생 29.7%, 비단기 합격생 32.7%로 비단기 합격생이 더 높았다.
한국사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수험시작 전’ 취득한 비율이 단기 합격생은 72.4%, 비단기 합격생은 58.4%로,
영어와 비교해 단기와 비단기 합격생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수험시작 후’ 비율도 단기 합격생 27.6%, 비단기 합격생 41.6%로 비단기 합격생이 단기보다 약 15%정도 차이를 보였다. 





조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단기와 비단기 합격생 모두 포함하는 합격생 대부분이 검정성적을 ‘수험시작 전’에 취득하며,
특히 단기와 비단기 합격생을 비교할 경우 단기 합격생이 비단기 합격생보다 ‘수험시작 전’에 취득한 비율이 더 높았다.
이를 통해 단기 합격생이 비단기보다 더 빠르게 검정성적을 취득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검정성적은 군무원 시험 응시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응시요건이 되는 성적이다.
따라서 검정성적을 빠르게 준비할수록 필기시험을 위한 학습에 필요한 시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므로,
혹시 아직 검정성적이 없다면, 가장 빠르게 다가오는 시험을 목표로 성적을 준비할 것을 추천한다.
그래야 필기시험 준비에 필요한 학습시간을 더욱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단기합격전략 2]
합격 목표 기간은 구체적이고 단기로 설정 할 것!

- 12개월 이내 단기 합격생의 합격 목표기간은 평균 9.7개월, 12개월 초과 합격생은 17.9개월
- 합격 목표 기간이 더 짧았던 단기 합격생은 실제 합격 소요기간이 감소 


필기시험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기 전에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있다.
바로 목표하는 수험기간 즉, 합격 목표기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생각보다 많은 수험생들이 목표기간을 ‘이번에 안되면 다음에’, ‘일단 하면서 정할까’하는 식으로 모호하게 세운다.
합격 목표기간을 어느 정도로 설정하는지가 실제 합격에 걸리는 기간에도 영향을 미칠까?

이를 확인하기 위해 조사대상을 12개월 이내에 합격한 단기 합격생과 12개월을 초과해 합격한 비단기 합격생으로 구분해
수험 초기에 설정한 합격 목표기간과 합격까지 실제로 걸린 기간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12개월 이내에 합격한 단기 합격생의 합격 목표기간은 평균 9.7개월로,
조사에서 단기 합격의 기준이 되는 12개월보다 약 3개월이나 더 짧은 기간으로 설정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 12개월을 초과해 합격한 합격생의 합격 목표기간은 평균 17.9개월로 12개월 안에 합격한 합격생의 평균과 비교해 약 2배나 길었다.

이 같은 목표기간의 차이는 실제 필기합격까지 소요된 기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 합격생과 비단기 합격생 조사대상의 두 기간을 비교한 결과,
비단기 합격생보다 목표기간을 짧게 설정한 단기 합격생은 필기 합격까지 실제로 소요된 기간이 감소했다.
반면, 비단기 합격생은 실제 수험기간이 목표기간보다 오히려 늘어났다.  






이 같은 경향은 수험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목표기간 설정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조사결과라 할 수 있다.
수험기간의 장기화는 시간은 물론 비용면에서도 수험생에게 부담이다.
시간과 비용에 전혀 부담이 없는 상황이라면 합격할 때까지 여유있게 준비하겠다는 장기 목표를 세워도 무방하다.
그러나 하루라도 더 빨리 경찰 공무원이 되어 공직에 진출하고 수험 준비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고자 한다면,
단기 합격생처럼 합격까지 목표하는 수험기간부터 12개월 이내로 단기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