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합격전략

합격전략
[9급] 2023년 합격생 분석│단기와 비단기 합격을 가른 결정적인 차이점은?

조회 869

2023.07.06



※ 2023년 공단기 출신 필기 합격생 조사결과 기준


[단기합격전략 1]
노베이스도 단기 합격 가능! 부담과 불안감을 버리고 빠르게 시작하라.


▷단기 vs. 비단기 수험 시작 시 초기 성적대(초기 학습수준)에 따른 단기합격 여부 검증
   - 단기 합격생이 비단기보다 초시 성적이 오히려 더 낮은 편. 
   - 초기 성적 즉, 노베이스거나 학습수준이 낮아도 단기 합격은 충분히 가능함.

 
12개월 안에 단기 합격에 성공하는 합격생은 기초 지식이 어느 정도 있거나 처음부터 학습수준이 높기 때문에 단기 합격에 보다 유리한 것이 아닐까 생각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공단기 출신의 합격생을 대상으로 단기 합격생과 비단기 합격생의 초기 학습수준 즉, 수험 시작 시 초기 성적대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국어는 수험 진입 시 초기 성적대 80점 이상 비율이 단기 합격생이 비단기보다 소폭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가 아니었으며,
오히려 30점대 구간에서 단기가 2.8%, 비단기가 1.1%로 단기 합격생의 비율이 더 높았다.
이외에 영어, 한국사, 전문과목에서도 단기 합격생이 비단기보다 30점 미만과 40점 이하의 최저점 성적대 비율이 오히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험 진입 시 학습수준은 단기 합격과 큰 연관이 없으며, 초기 성적이 낮아도 단기 합격이 충분히 가능하다.
즉, 공무원 시험과목이 처음이거나, 지식이 전혀 없는 노베이스라도 단기 합격은 충분히 가능하다.
단기 합격을 결정하는 것은 출발점의 위치가 아니라, 목표까지 어떤 과정을 거치느냐에 달려 있다. 





[단기합격전략 2]
반드시 12개월 이내 합격을 목표하라.


▷목표 수험기간에 따른 실제 필기합격 소요 기간 
   - 단기 합격생은 목표 수험기간부터 비단기 합격생 보다 짧음.
   - 단기 합격생 실제 수험기간이 목표보다 감소하였으나, 비단기는 오히려 증가

 
공무원 시험 준비를 시작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 바로 ‘목표 수험기간 설정’이다.
수험기간을 무한정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언제까지 반드시 합격하겠다는 목표기간 설정은 공무원 수험을 시작하는 기점이 된다. 

공단기 출신 합격생을 대상으로 한 목표 수험기간에 대한 조사에서 12개월 이내에 합격한 단기 합격생은 평균 11.8개월,
12개월을 초과해 장기에 걸쳐 필기에 합격한 비단기 합격생은 18.5개월로
단기가 비단기보다 목표 수험시간부터 12개월 이내로 더 짧게 설정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실제로 필기합격까지 걸린 기간을 조사한 결과,
목표기간이 평균 11.8개월이었던 단기 합격생은 실제 합격까지 걸린 기간이 8.7개월로목표보다 오히려 더 빠른 기간 안에 합격했다.
반면, 목표 수험기간이 18.5개월로 조사된 비단기 합격생은 실제 필기합격까지 걸린 수험기간이 평균 26.9개월로 목표기간보다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합격까지 목표하는 기간을 명확하게 설정해야 기간별 학습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울 수 있다.
따라서 목표 수험기간을 단기로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이야 말로 단기 합격의 시작임을 알 수 있다. 





[단기합격전략 3]
합격선 도달 목표 기한을 설정하라.


12개월 이내 단기 합격생 합격선까지 평균 5.6개월 소요
   - 단기 합격생이 비단기 합격생 보다 더 빠른 기간 안에 합격선 성적까지 도달


12개월 이내에 합격한 단기 합격생과 12개월을 초과해 필기시험에 합격한 비단기 합격생의
과목별 합격선 성적까지 도달하는데 걸린 기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단기 합격생이 더 빨랐다.
과목별 상위 성적대인 80~90점대 성적까지 도달하는데 걸린 기간은 단기 합격생이 평균 5.6개월,
비단기 합격생은 평균 12.9개월까지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12개월 이내 합격을 목표한다면 합격선에 근접한 성적까지 실력을 올리기 위한 목표 기간을
단기 합격생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최소 6개월 이내로 목표할 것을 추천한다.
합격선에 근접한 성적까지 도달하는 기간이 빠를수록 남은 12개월 이내 기간 동안 성적을 안정화시키고
90점 이상 고득점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심화학습에 필요한 시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언제까지 몇 점까지 올리겠다’는 목표가 구체적일수록 긴 기간 동안 약해지기 쉬운 학습동기를 꾸준히 유지하는데도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