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합격전략

합격전략
[소방] 합격생의 소방 전문과목 소방관계법규 학습경향

조회 205

2022.08.04


소방관계법규는 소방기본법, 소방시설법, 소방시설공사업법, 위험물법 등으로 구성된 과목으로 법, 시행령, 시행규칙 등 암기량이 많다.
또한, ‘法’ 과목 특성상 조문 속의 단어와 숫자를 정확히 암기해야 문제의 답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때문에 이해보다는 암기가 선행되어야 하는 과목적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소방관계법규는 필기이후 면접은 물론 임용후 실제 업무에도 활용되는 매우 내용이기 때문에
필기시험을 위한 학습부터 완성도 있게 진행할 것을 추천한다.
지금부터 합격생들은 어떻게 공부했는지 살펴보고 소방관계법규의 학습방향을 정확하게 잡아보자.



■ 중점학습방향
단기와 비단기 합격생들이 소방관계법규 과목에서 중점을 두고 학습 것은 기본개념과 법 조문으로 나타났다.
단기 합격생의 69.0%, 비단기 합격생의 55.9%가 기본개념과 법 조문 중점학습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는데,
특히 단기합격생이 비단기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법 과목은 일상생활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낯선 용어를 사용하고 개념이 생소해서 학습초반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바로 이 점 때문에 많은 수험생들이 법 과목을 어려워하고 힘들어 한다.
이를 극복하고 학습시작에서 큰 틀과 체계를 잡고 구조화하는 과정을 끈기있게 완성한다면,
이후 진행하는 기출학습이나 문제풀이도 학습에서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법과목은 조문 하나하나가 문제풀이를 위한 이론 및 기본개념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시험직전까지 완벽하게 학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 강의수강
합격생들이 소방관계법규 학습을 위해 처음으로 수강한 강좌 유형은 기본이론 강좌로 나타났다.
수강을 시작할 때 입문∙기본이론∙기본심화 등 이론 중심 강좌로 시작한 비율이 단기 합격생은 76.2%,
비단기 합격생은 76.5%로 합격생 전반에서 높게 나타났다.
문제풀이 및 기출 등 문제풀이 중심 강좌로 시작한 비율은 약 20%였다.
특히, 단기 합격생은 기본이론> 기출> 기본심화> 압축∙요약 순, 비단기 합격생은 기본이론> 기출> 문제풀이, 압축∙요약 순이었다.




수험생이 가장 많이 수강한 강좌 유형은 기본이론 강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단기합격생은 기본이론> 기출> 기본심화> 압축∙요약 순, 비단기 합격생은 기본이론> 기출> 문제풀이, 압축∙요약 순이었다.
주목할 점은 가장 처음 수강한 강좌는 ‘기본’강좌 비율이 가장 높았던 것과 달리,
수험기간 전반을 통틀어 가장 많이 수강한 강좌는 단기∙비단기 합격생 모두 ‘심화’강좌 비율이 늘었다는 것이다.
심화강좌의 비율이 처음 수강강좌에서는 단기합격생 6.0%, 비단기합격생 5.9%였지만,
가장 많이 수강한 강좌유형 조사에서는 단기합격생 35.7%, 비단기합격생 26.5%로 증가했다. 










■ 교재회독
합격생들이 주로 활용한 회독용 교재는 단기합격생 53.6%, 비단기합격생 61.8%가 기본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합격생은 심화서, 요약서 활용 비율이 비단기 합격생보다 높았고,
비단기합격생은 기출서, 강의자료 등에서 단기합격생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앞서 살펴본 수강 강좌 유형부터 회독용 교재까지 단기합격생은 기본이론에 집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체 수험기간 동안 이론교재 총 회독 수는 단기합격생 6.5회, 비단기 합격생은 6.0회로 나타났다.
단기합격생의 합격까지 걸린 수험기간이 12개월 이내, 비단기합격생이 12개월 초과~18개월 및 24개월 이상 포함인 것을 감안할 때
단기합격생이 기간내 훨씬 더 많이 회독 한 것을 알 수 있다.
회독에 걸린 기간을 살펴보면 최초 1회독에 소요된 기간은 단기 2.5개월, 비단기 2.6개월이 걸렸고,
1회독 당 평균소요기간는 단기 합격생 1.5개월, 비단기 합격생 1.7개월이었다. 







■ 기출학습
합격생들의 기출학습 시작시기를 살펴보면 단기∙비단기 모두
이론학습과 1회독 후> 이론학습 2회독 후> 이론학습과 동시병행 순으로 나타났다.
기출학습 시작시기에 대한 조사에서는 단기∙비단기합격생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특히 이론학습 1회독 후는 약 32%, 이론학습 2회독후는 약 27% 정도로,
합격생은 본격적인 기출학습을 이론학습 1~2회독 시점에 시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인의 실제 학습후기와 달리 ‘후배들에게 추천하는 기출학습 시작시기’에 대한 조사에서는
단기∙비단기합격생 모두 이론학습 1회독 후 시작할 것을 추천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게 나타났다.
실제학습과 추천에서 이론학습 1회독 후 비율을 비교해보면, 단기합격생은 실제 32.1% → 추천 36.9%,
비단기합격생은 실제 32.4% → 추천 35.3%로 소폭 상승했다.
이론학습 2회독 이상 이후에 진행한 비율을 살펴보면,
단기합격생은 실제 27.4% → 추천 21.4%, 비단기 합격생은 실제 26.5% → 추천 23.5%로 낮아졌다. 





이론학습이 일정 수준에 도달해야 기출학습도 효과가 있다.
따라서 기출을 무작정 빨리 시작하기보다는 단기합격생의 경향을 참고하여
이론학습 1회독 후에는 기출을 시작할 수 있도록 최초 1회독 만큼은 최대한 집중력을 발휘하여
전체 내용의 큰 틀을 잡고 생소한 용어와 개념에 익숙해 지는 것을 목표로 학습할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