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합격전략

이슈분석
[9급] 시험 바로알기-원점수 적용 의미와 학습전략

조회 1467

2022.03.02



9급 공무원 시험은 개편 전 조정점수제로 필기합격과 불합격을 결정했다. 
조정점수제에서는 공통과목인 한국사, 영어, 국어는 절대평가로,
선택과목은 수험생이 선택한 과목별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  점수 조정 후 환산점수가 부여되었다.
때문에 최종 환산점수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과목은 공통과목이었고, 
수험생은 자신의 과목별 강약점과 상관없이 학습에서 최우선 순위는 공통과목에 두어야 했다. 

그러나 직렬별로 필수과목이 지정되면서 합격과 불합격은 5개 과목의 100점 만점 원점수가 적용되면서
공통과목의 비중이 다소 약화되어 전과목의 비중이 동일해졌다.
따라서 수험생은 공통과목의 고득점의 부담감을 다소 내려놓고, 
응시 직렬의 5개 과목 중에서 자신이 강하고 약한 과목에 따라 총점 기준으로 성적관리를 하면된다. 





조정점수가 폐지되고 원점수가 적용되면서 성적표에 표기되는 점수도 원점수 100점 만점의 평균 점수로 변경되었다.
원점수 적용에 따라 수험생의 개별적인 성적관리와 합격선 예측이 더욱 정확해졌다고 볼 수 있다. 



 


총점 기준 성적관리를 위해 모의고사를 정기적으로 활용한다면
합격 안정권이 되기위한 과목별 필요점수를 원점수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도움이 된다. 
수험기간 동안 5개 과목의 과목별 성적과 총점을 합격컷에 맞춰 안정적으로 준비하고 싶은 수험생이라면
학습계획에 모의고사와 풀서비스 활용계획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볼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