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합격전략

기타
국가직 공통과목 2016년~2020년 기출문항 분석 [영어]

조회 150

2022.01.02



공무원 시험은 한 두 문제 차이로 당락이 결정될 만큼 경쟁이 치열하다. 실제로 공단기 풀서비스 이용회원들의 성적을 분석해 보면, 2020년 국가직 일반행정 직렬에서 1~2문항 차이로 불합격한 수험생이 383명으로 나타났다. 국가직 선발인원이 279명인 것을 고려할 때, 선발인원 대비 1.4배에 해당하는 인원이 단 1~2문항으로 불합격한 것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합격을 위해서는 실수를 최대한 줄이고 고난도 문항을 맞춰야 한다. 2016~2020년 국가직 공통과목의 단원별 출제 경향을 살펴보고, 학습 계획을 세우는데 참고하자.


*출제 단원 구분은 자사 내부 기준 분류 값
*전체 : 자사 풀서비스 전체 이용회원 DB근거, 정답률 70% 미만 문항 수
*합격생 : 자사 풀서비스 기준 합격 컷 이상 수험생 DB근거, 정답률 70% 미만 문항 수 


▘출제단원






▘정답률 70% 미만 문항 수




영어는 수험생이 가장 어려워하는 과목이다. 또한 영어는 고득점을 위해서 어휘력·문법지식·사고력 등이 복합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기초가 없다면 학습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때문에 정답률 70% 미만인 문항이 국어에 비해서 많은 편이다.

단원별로 살펴보면, 우선 ‘생활영어’는 대부분의 수험생이 정답을 찾는 단원이므로 절대로 틀리면 안된다. 수험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어휘에서는 전체 수험생을 기준으로 보면 정답률 70% 미만 문항이 매년 2-3문항 정도 나타나지만, 합격생의 경우 2019년 1문항을 제외하고 정답률 70% 미만 문항이 없다. 이는 어휘를 암기하는 것이 더디고 많은 반복이 필요하지만, 합격을 위해서는 반드시 극복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수치다. 

합격생도 문법 단원에서는 정답률 70% 미만 문항 수가 2016~2020년까지 7문항으로 적지 않았다. 문법은 합격생도 어려워하는 단원이기 때문에 만약 문법에서 고득점을 한다면 경쟁자보다 확실히 앞서 갈 수 있다. 따라서 영어 과목의 안정적인 합격 점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문법 단원에서 얼마나 득점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