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뉴스

시험이슈
공무원 인재상 최초 정립, 인사관리체계 전반적 개선

조회 52

2023.12.27

공무원 인재상 최초 정립, 인사관리체계 전반적 개선
- 공무원 채용부터 평가·보상까지 인사체계 변화 예고 … 수험생 등 기대-



#1. 기업 중심으로 발표되던 인재상을 정부에서 처음으로 정립했는데 공직에도 인재상은 꼭 필요했던 것 같습니다.
인재상을 기반으로 업무 환경이나 조직 문화를 개선할 수 있을 거란 기대가 큰 만큼, 공무원 인재상이 공무원이란 직업의 이정표가되길 바랍니다. < 업계 관계자 ㄱ 씨 >
#2. 공무원 인재상에 국민이 바라고 요구하는 공무원의 모습을 담고자 노력했습니다.
인재상이 공무원 모든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새로운 지표로 활용될 수 있도록 인사체계 전반을 개선해 나가겠습니다. < 인재상 정립 담당 공무원 >


공무원이 갖춰야 할 바람직한 사고, 태도 등을 담은 ‘공무원 인재상’이 올해 최초로 정립됐다.
공무원 채용부터 평가‧보상까지 인사관리 전반에 대한 변화를 예고하며 현직 공무원은 물론이고,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 등에서 긍정적인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올 2월 ‘탁월한 직무 전문성으로 국민 기대에 부응하는 공무원 인재상’을 수립·발표하고 내년부터 채용·교육·평가·승진· 보상 등 인사관리 전 분야에서 인재상을 적용, 인사관리 체계를 전반적으로 개선한다고 27일 밝혔다.
앞서 인사처는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 공무원의 인식·태도·가치 정립의 기준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공무원 인재상 정립을 추진했다.
공무원 인재상은 탁월한 직무 전문성을 바탕으로 ▲국민과 공무원 모두 강조한 ‘소통·공감’ ▲공무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공직 기본 가치인 ‘헌신· 열정’ ▲공무원이 강조한 ‘창의·혁신’ ▲국민이 강조한 ‘윤리·책임’의 4개 요소로 구성됐다.
이에 따라 공무원 채용·교육·평가·승진·보상 체계 등 인재상 기반의 인사관리 체계가 내년부터 본격 시행된다.

첫째, 공무원 인재상에 맞는 인재를 채용한다. 공무원 면접시험 시 사용되는 평정 요소를 인재상에 맞춰 개선하는 등 공무원으로서의 자세 및 태도를 더 면밀하게 검증한다. 정부 민간인재 영입지원(정부헤드헌팅) 시에도 인재상을 기반으로 우수 인재를 발굴·추천한다.




.
.
.
(하략)




출처 : 인사혁신처


보도자료 확인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