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상세 내용

지방직 9급 교육행정
[2024년 지방직 교육행정] 공단기 합격수기 작성하고 싶어서 공무원 합격한 썰
조회 213

합격 선배의 시험정보

합격 선배의 시험정보
최종합격 2024 지방직 9급 교육행정
응시과목 국어,영어,한국사,교육학개론,행정법총론
총 수험기간 6개월~ 1년
시험 응시횟수 1회

합격 선배의 공부 스타일 및 합격수기

합격 선배의 공부 스타일 및 합격수기
수험생활 전업 수험생(휴학생 포함)
평균 학습시간 8~10시간
평균 회독수 7~8회
평균 문제풀이 권수 3권
공부 방법 독학,인터넷강의
공부 장소 스터디 카페
합격 선배의 공부 스타일 및 합격수기
하루 학습 계획 및 생활 패턴 저는 아침 잠이 많아서 일어나는 게 가장 힘들었습니다. 그래도 최소 9시까지는 책상에 앉자! 라는 생각으로 9시에 눈 뜨자마자 책상에 앉아서 국어, 영어 모의고사를 풀었습니다. 초반에는 하프 모의고사를 매일 봤었는데 시험 두 달 전부터는 실전 모의고사를 매일매일 빠지지 않고 풀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실제 시험 시간에 맞춰서 그 시간에는 항상 뇌가 활발하게 움직이도록 하고 실전처럼 긴장감있게 타이머를 맞추고 모의고사에 임했던 것이 가장 많은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또한 수험 생활이 길어질수록 앉아있는 시간이 길어지다 보니 강제로라도 운동을 시작했으며, 운동하는 시간만큼은 공부 걱정없이 스트레스도 풀었습니다.
과목별 학습법 & 수강 강사 및 활용 교재 아 무엇보다도 저는 10월에 처음 공부를 시작했기에 이것저것 많이 따질 시간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많이 택하는 공단기로 선택하고 내가 문제지, 강사님이 문제겠어? 하는 마음으로 맛보기 강의도 듣지 않고 모든 과목 좌측 상단 강사님을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부족해서 기본강의를 들으면서 기출은 강의없이 독학했습니다. 하루에 정해진 분량의 기본강의를 들은 후 바로 해당 부분의 기출을 확인하는 과정이었습니다.

1. 국어는 문학, 문법, 독해로 나누어서 문학, 문법은 이선재 선생님 강의를 들으면서 기출에 어떤 방식으로 출제되었는지 확인했으며, 독해는 매일국어를 매일 아침에 푸는 걸로 하고 따로 강의는 듣지 않았습니다.
2. 영어는 베이스가 어느 정도 있었기 때문에 강의는 듣지 않고 이동기 선생님 어플을 통해 매일 스터디 카페를 왔다갔다 하거나 자기 전에 누워서 단어를 외웠고, 단어 암기 시간을 따로 투자하는 것이 너무 아까워서 자투리 시간을 활용했습니다. 영어도 국어와 마찬가지로 매일 하프 모의고사를 풀고, 기출을 통해 어떤 식으로 출제되는지 확인했습니다.
3. 한국사가 많이 약하다고 느껴서 문동균 선생님 기본강의를 시작해서 필수 커리를 다 따라갔습니다. 그렇게 하니 마지막에는 모의고사 5분컷으로 끝내고 자신감도 생겼습니다.
4. 교육학은 전공자가 아니라면 다들 처음 접하실텐데 저도 처음엔 너무 막막했습니다. 그래서 기본강의 듣고 기출을 보면 아하! 하는데 며칠 지나고 보면 엥..? 스러운 기분이었습니다.. 중간에 교육학을 던졌던 적도 있었지만 공부한 기간에 비해서는 기출만 여러번 보면 어느 정도의 점수는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교육학 기본강의만 3번 정도 봤던 것 같습니다.
5. 행정법도 마찬가지로 기본강의 후 기출 확인이었는데 처음엔 행정법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범위가 너무 많아서 벅차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써니쌤이 기본강의에서 예로 들어주시는 일화들이 머리에 쏙쏙 박혀서 나중에 기출을 풀 때에도 해당 일화가 떠오르면서 술술 풀렸습니다. 저는 모든 과목 기본서, 기출만 구입하고 국어, 영어, 한국사는 모의고사 풀기로 커버했더니 최저 교재비로 최고 효율을 봤습니다!
면접 준비과정 필기 결과가 나온 후 일주일 정도 후에 면접 스터디를 구했고, 인원은 4명이고 주 1회 모임이었는데 딱 적당했습니다! 그리고 스티마 선생님 무료 강의로 4시간 정도 투자해서 들었더니 대충 어떤 식으로 면접을 준비해야 할 지 감이 잡혔습니다. 그것을 바탕으로 스터디원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예상 문제를 꼽아보는 등으로 활동했습니다. 마지막에는 서로 모의면접도 진행하는 방식으로 준비했더니 2주 만에 충분히 면접을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필기 합격 후 면접 준비하려고 하니까 많이 늘어져서 귀찮기도 했는데 스터디를 하면서 같이 과제도 내주고 하니까 동기부여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수험생활중
어려웠던 점과
극복방법
수험생활 중에 오늘 하루만.. 한 과목만.. 쉬어볼까..? 하는 생각이 가장 위험한 것 같습니다. 그럴 때마다 저는 지금 밑빠진 독에 물을 붓지 않으면 내일은 더 많은 물을 부어야 하기 때문에 나태해지는 제 모습을 볼 때마다 물이 새어나가는 상상을 했습니다. 그리고 다른 친구들이 놀자고 하는 유혹에 자꾸 흔들렸는데 '지금 놀러가면 잃을 것이 있는 사람은 나밖에 없다.' 하는 마음으로 빨리 합격해서 놀자! 하고 자신을 다독였습니다. 지금껏 누려오던 사소한 것들을 포기할 수 있는 확신이 생겼을 때 도전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비중이 크지 않은 파트라고 일찍 포기하면 그 파트에서 문제가 나올까봐 항상 전전긍긍해야 하는 것이 싫어서 사소한 부분이라도 어느 정도는 확인하고 이해하고 넘어가려는 마음을 가지니 어떤 문제가 나와도 자신이 있었습니다.
합격으로 이끈
나만의 학습 전략
KEY POINT
저는 처음 공무원 시험을 준비할 때 동기가 확실했기 때문에 항상 그 동기를 생각하며 공부했습니다. 그리고 사실 다른 사람의 합격 수기를 전혀 읽어보지 않았습니다. 팔랑귀라 흔들릴까봐 오직 나와 공단기 선생님들만 믿고 내 공부 방식대로 했습니다. 아! 저는 127공부법을 활용했는데, 이 방법은 유튜브에 자세히 나와있고 일주일 안에 3회독 하는 전략입니다. 이렇게 자기만의 공부법을 만들었다면 그것만 믿고 내 계획대로 밀고 나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괜히 다른 사람은 이렇게 했더니 단기합격했다더라. 하는 말에 휩쓸리지 마세요!! 그리고 다섯 과목이지만 공부를 하는 초반에는 너어어무 공부량에 압도된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그럼에도 밑빠진 독에 물붓기라고 생각하며 까먹을 것은 까먹고 남을 것은 남는다. 라는 생각으로 꾸준히 물을 부으면 언젠가 합격에 도달해있을 것이라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