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상세 내용
지방직
9급
일반행정
[2024년 지방직 일반행정] 3년만에 허수 공시생에서 합격생으로 거듭난 과정
조회 189
합격 선배의 시험정보
최종합격 | 2024 지방직 9급 일반행정 |
---|---|
응시과목 | 국어,영어,한국사,행정법총론,행정학개론 |
총 수험기간 | 2년 6개월 ~ 3년 |
시험 응시횟수 | 5회 |
합격 선배의 공부 스타일 및 합격수기
수험생활 | 전업 수험생(휴학생 포함) |
---|---|
평균 학습시간 | 4~6시간 |
평균 회독수 | 5~6회 |
평균 문제풀이 권수 | 3권 |
공부 방법 | 인터넷강의 |
공부 장소 | 도서관/일반독서실 |
하루 학습 계획 및 생활 패턴 |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어 하는 편이라서 최대한 9시에 독서실에가서 공부를 시작하려고 했는데 일정하지는 않았습니다. 시간을 맞추는 거보다 꾸준히 공부하는 것을 중시했던 것 같습니다. 계획과 많이 틀어져서 공부를 못하는 날이 있더라도 영어 단어라도 외우고 하프라도 하나 푸는 식으로 꾸준함을 중시했습니다. 9시에 가서 커피를 마시며 공부를 시작했습니다.(커피가 도움이 많이 됐다고 생각합니다) 뇌를 깨우기 위해 영단어를 외우고 영어 하프 모의고사 또는 영어 독해 DAY1씩 풀고 그날그날 제가 부족하다는 과목 위주로 기출 회독을 했습니다. 11-12시 쯤에는 집에서 점심을 먹고 늦어도 2시쯤엔 복귀해서 다시 기출 회독을 하고 집에는 10시에 항상 귀가했습니다.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계속 일정을 반복했습니다. |
---|---|
과목별 학습법 & 수강 강사 및 활용 교재 | 국어 국어는 기본 베이스가 있는 편이라 공부 안해도 90점이상 점수가 나와서 평소에는 다른 과목을 더 중점적으로 공부했습니다. 영어 단어가 많이 부족한 편이었어서 이동기 VOCA3000으로 하루에 DAY5씩 루틴처럼 하루 공부 시작하면서 회독했습니다 문법은 기초는 있다고 생각해서 문법 강의 완강하고 이동기 문법 500제를 풀고 1회독 때는 문제 풀고 강의를 듣고 2회독부터는 강의 없이 해설만 보고 공부했습니다. 3회독부터는 틀린문제만 다시 풀었습니다. 독해는 감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매일 심슨 독해 유형편부터 DAY1씩 꾸준히 풀었습니다. 한국사 인강 수강을 통해 개념을 파악하려고 했고 강의 5개씩 1.8배속으로 듣고 그날 복습을 했습니다. (뭘 배웠는지 정리하고 상기하는 정도로만) 이후에는 기출회독을 통해 개념을 정리했습니다. 양치기 위주로 공부해서 여러 모의고사를 많이 풀었던 기억이 납니다. 행정법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하다보니 괜찮은 과목. 써니쌤으로 인강 듣고 단원별 문제집으로 무한 회독했습니다. 행정학 김중규쌤으로 1회독 하고 선행정학 회독을 많이 했습니다.(양이 많아서 짝수 홀수번으로 나눠서 풀었음) 이후에는 모의고사를 많이 풀었습니다. |
면접 준비과정 | 알바 경력도 사회생활 경험도 딱히 없는 편이었어서 면접 준비 초기에는 많이 불안했던 것 같습니다. 가족들과 친구들하고 대화하면서 제 예전 경험을 되돌아보는게 도움이 됐습니다. 본인은 별 거 아닌 경험이라고 생각해도 말하는 방식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작은 경험이라도 공직관에 맞게 풀어낸다면 좋은 말재료가 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저는 면접 준비를 2주 전부터 면접학원을 통해 준비했습니다. 사실 학원 자체는 큰 도움은 되지 않았는데 학원에서 만난 스터디가 가장 큰 도움이 됐습니다. 면접 준비 하려면 꼭 스터디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저도 혼자 공부만 하다보니 사회성이 떨어져서 처음에는 모의 면접에서 말도 제대로 못하고 떨기만 했는데 계속 연습하다보니 저 뿐만 아니라 스터디원 모두 면접 전에 척척 대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제 면접장 가서도 모든 질문에 숙지찬스 없이 답변 할 수 있었습니다. |
수험생활중 어려웠던 점과 극복방법 |
제 수험기간이 총 3년인데 첫 1년동안은 소위 말하는 허수 공시생 그 자체였습니다. 공무원 학원을 다녔는데 1회독도 제대로 안하고 수업도 제대로 나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2년차부터는 학원이랑 안맞는구나 판단하고 독방이 있는 동네 독서실에서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인강을 통해 개념을 쑤셔넣고 복습하는데만 집중했고 회독을 통해 점수를 올렸습니다. 이를 계속 반복하니 2년차부터는 합격권 점수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2년차부터 허수 때와는 달리 열심히 공부하니까 탈락해서 멘탈이 무너지는 경험을 처음 겪었고, 사실 시험장 나오면서는 망했다고 생각해서 채점도 하지 않았지만 막상 결과를 확인해보니 1점 차로 탈락해서 더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3년차때는 어느정도 개념을 아는 상태니 멘탈을 잡고 꾸준히 공부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
합격으로 이끈 나만의 학습 전략 KEY POINT |
저는 공무원 시험은 꾸준함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제 수험생활을 돌아보면 성실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늦게 일어나 점심이 되서야 독서실에 가는 경우도 많았고 공부하면서도 폰을 멀리한 적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하루도 빼지 않고 영단어는 외우려고 했고 저같이 게으른 사람들은 독서실에 가서 자리에 앉는 것부터 모든 것이 시작한다고 생각합니다. 공부를 하다보면 하루에 10시간씩 순공하는 성실한 사람들 많습니다. 저도 그렇게 했으면 빨리 합격했겠지만 저는 그게 안되는 사람이라 매일 꾸준히 내가 할 수 있는 양이라도 하는 게 더 효과가 컸습니다. 그리고 인강 1회독을 끝내고 기출을 하려고 피면 저는 집중력이 떨어져서 10문제가 있다고 하면 6문제 정도는 하나도 모르는 일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좌절하지 않고 그냥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수험 생활을 하면서 첫 회독 때는 자괴감이 들 정도로 아무것도 모르는구나 해도 3회독부터는 어떻게든 뇌에 정보가 들어오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큰 고민을 가지기보다는 무지성으로 그냥 하는 정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