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상세 내용

지방직 9급 사서
[2024년 지방직 사서] 막판 스퍼트로 1년도 안돼서 합격했어요.
조회 131

합격 선배의 시험정보

합격 선배의 시험정보
최종합격 2024 지방직 9급 사서
응시과목 국어,영어,한국사,자료조직개론,정보봉사개론
총 수험기간 6개월~ 1년
시험 응시횟수 1회

합격 선배의 공부 스타일 및 합격수기

합격 선배의 공부 스타일 및 합격수기
수험생활 아르바이트 병행
평균 학습시간 6~8시간
평균 회독수 5~6회
평균 문제풀이 권수 4권 이상
공부 방법 인터넷강의
공부 장소 도서관/일반독서실
합격 선배의 공부 스타일 및 합격수기
하루 학습 계획 및 생활 패턴 계획은 세세하게는 안 짜고 '영어 day4, 한국사 2강‘ 이런 식으로 대강 짰습니다. 결국은 규칙적인 생활이 중요한 거지 플래너 짜는 건 딱히 중요하다고 생각 안했습니다. 오전 9시(막바지엔 8시)에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아침엔 간단하게 영어 단어, 국어 사자성어를 외우고 본 공부에 들어갔습니다. 스트레스 받으면 소화가 안 되는 편이라 점심 먹고 걷기 운동을 하고 다시 공부를 했습니다. 1월부터는 밤 10시까지 공부했고 시험 막바지엔 11시까지 공부했습니다. 공부하다 안 외워지는 건 플래너에 적어놓았는데 잠자기 전에 읽고 잤습니다.
과목별 학습법 & 수강 강사 및 활용 교재 23년 7월에 인강을 결제했지만 막학기, 알바 등의 이유로 공부에 전념하진 못했습니다. 그래도 국어 제외 기본 인강은 다 들었습니다. 그 다음 공통 과목 기출문제를 풀고 이후 전공 기출 문제를 풀었습니다. 마지막엔 모의고사를 보며 실전 연습했습니다.

국어 t권규호
문학: 개기문
문법: 암기왕, 김병태 기출
독해: 개기문, 독해강훈련 -> 이선재반반모고 -> 수공모1

영어 t이동기 심우철
이동기: 문법구문, 하프, 직전동형12, 파이널모고
심우철: 독해기본강의, 독해500제, 하프

한국사 t문동균
기본 강의 + 판서노트(기본서 안삼)
판서노트는 공부하는 데 무조건 필요한데 기본서는 처음에만 본다고 해서 기본서는 안 샀습니다. 다만 판서노트는 요약된 거라 노베가 내용 파악하기엔 쉽지 않습니다. 기본서는 안 사더라도 기본서 강의는 수강하여 흐름 파악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기출 해설이 잘 되어있어 인강은 듣지 않았습니다. 회독 방법으론 wov 회독법을 사용하였는데 유튜브에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문단속30day 단원별 하프 모고입니다. 전체 20문제 모고로 착각하고 잘못 산 거지만 유용하게 잘 사용했습니다. 마지막에 실전 연습할 때 2회차씩 풀었습니다. 1/4인강 기본 강의를 1/4로 압축한 인강입니다. 국가직 문제가 쉽게 나왔는데도 틀려서 급하게 들었습니다. 확실히 내용이 재정리되는 느낌이라 좋았습니다. 1/4인강 수강과 판서노트 무한회독을 강추합니다.

자조 t신인수
기본 강의 -> 기출 -> 기변 -> 모고
로드맵은 인강이나 회독하진 않았고 kdc, kormarc 같이 암기해야할 부분 암기하는 데에 사용했습니다. 인수쌤 카페에서 어떤 분이 배포해주신 암기노트도 유용히 사욯했습니다. 기출, 기변, 모고 등은 인강에서 알려주시는 게 많아서 문풀하고 꼭 인강을 들었으며 앞뒤복습도 했습니다.

정봉 t신인수
기본 강의 -> 로드맵 -> 기출 -> 기변 -> 모고
정봉은 어느 갈래에 뭐가 있는지 전체적인 그림을 파악하는 게 중요합니다. 그래서 목차처럼 정리되어 있는 로드맵 인강을 듣는 것이 좋다고 판단했습니다. 나머지 공부법은 자조와 동일합니다.
면접 준비과정 사서와 관련된 질문은 인수쌤이 배포해주신 자료를 통해 대비하였습니다. 필기합격만하면 다 인줄 알았지만 생각보다 면접에서도 준비할 것이 많았습니다. 면접 인강 쌤 단톡방에서 많은 정보를 얻었습니다. 사람들 앞에 서면 긴장을 많이 하는 편인데 면접 스터디를 통한 모의면접 반복으로 약점을 극복할 수 있었습니다. 예상 질문에 대한 답변을 최대한 준비해 갔기에 면접 때 실수 없이 답변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면접 태도나 말의 속도 등을 확인하기 위해 녹음을 하거나 영상을 찍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는 면접 당일에 청심원도 마셨습니다.
수험생활중
어려웠던 점과
극복방법
수험생활 동안 최대의 적은 자기 자신입니다. 항상 자신과 싸우며 멘탈 관리를 해야합니다. 졸업 이후 약 4개월 정도는 친구랑 잘 만나지 않고 공부에만 전념했습니다. 우울할 땐 시험이 끝나고 하고 싶은 것들을 생각하며 버텼습니다. 친구랑 놀기, 라식, 가족 여행 등 떠올리기만 해도 행복해지는 것들로요. 일주일에 하루 정도는 비워놔 그날은 밀린 공부를 하는 식으로 계획을 짜 번아웃을 방지했습니다. 멘탈 관리 다음은 체력 관리가 중요합니다. 저도 꾸준히 운동하고는 싶었는데 사실 실패했습니다. 시험 끝나니 온몸이 아프더군요. 건강 챙기세요!
합격으로 이끈
나만의 학습 전략
KEY POINT
막판에 합격컷이나 티오 때문에 흔들리는 일이 많습니다. 티오는 안 볼 수 없지만 경쟁률은 안 볼 수 있으니 접수하고 경쟁률 안 보고 공부만 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좋습니다. 단기간 공부했든 장기간 공부했든 막판 스퍼드가 중요한 건 매한가지입니다. 가장 열심히 해야 할 순간이니 근심 속에서 보내지 마세요. 완벽주의 성향은 버리고 지엽적인 부분보다 빈출 부분에 집중하세요. 권규호 쌤이 항상 하는 말이 있습니다. 맞을 문제 틀리는 것보다 맞을 문제 맞고 틀릴 문제 틀리는 게 더 낫습니다. 아무리 어려워도 기출은 반복하시다 보면 체화됩니다.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달리세요.